⚛️ 연료전지의 기본 이론
연료전지는 두 가지 전극(연료극, 산화극)과 전해질로 구성되며, 연료와 산화제가 공급되면 각각의 전극에서 산화와 환원 반응이 일어납니다. 이 과정에서 전자는 외부 회로를 통해 이동하면서 전류를 생성합니다.
🔄 산화환원 반응
- 산화(Oxidation): 전자를 잃는 반응 (연료극에서 발생)
- 환원(Reduction): 전자를 얻는 반응 (산화극에서 발생)
예: 수소연료전지의 경우
전체 반응식: H₂ + ½O₂ → H₂O + 전기 + 열
세부 반응식:
- 연료극(Anode, 산화 반응): H₂ → 2H⁺ + 2e⁻
- 산화극(Cathode, 환원 반응): ½O₂ + 2H⁺ + 2e⁻ → H₂O
→ 전자는 외부 회로를 통해 흐르며 전기를 생산하고, 양성자(H⁺)는 전해질을 통해 이동합니다.
🔋 연료전지의 전기화학적 작동원리
📐 전위차 (전기화학적 전위, E)
각 반쪽 반응(산화, 환원)은 특정한 전기화학적 전위(E)를 가지며, 두 반응의 전위차가 곧 이론적인 전압입니다.
- 수소산화 전위: E° = 0 V (기준 전극)
- 산소환원 전위: E° = +1.23 V (산성 조건)
따라서 이론적인 최대 전압 = 1.23 V
그러나 실제 연료전지는 다양한 손실(losses)로 인해 보통 셀당 약 0.6~0.8 V의 전압을 냅니다.
⚠️ 전기화학적 손실 요소들
연료전지는 이상적 조건에서는 100% 효율이지만, 실제 작동에서는 여러 가지 손실이 발생합니다.
🧯 과전압 (Overpotential)
- 활성화 손실 (Activation loss): 전극 표면에서 반응을 개시하기 위한 에너지 장벽
- 농도 손실 (Concentration loss): 전극 근처 연료/산화제 농도가 낮아지는 현상
- 저항 손실 (Ohmic loss): 전해질, 전극, 연결선 등에서의 내부 저항
이런 손실들 때문에 셀 전압이 실제로는 이상 전압보다 낮게 됩니다.
💡 전기 출력 공식
연료전지의 출력 전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:
P = V × I
여기서
- P: 전력 (W)
- V: 전압 (V)
- I: 전류 (A)
🔬 열역학과 연료전지 효율
연료전지 효율은 일반 내연기관보다 훨씬 높습니다. 이론적인 최대 효율은 **기브스 자유에너지(Gibbs Free Energy)**와 관련 있습니다.
🔥 이론적 효율 공식:
η = ΔG / ΔH
- ΔG: 기브스 자유에너지 변화량 (전기적으로 얻을 수 있는 에너지)
- ΔH: 엔탈피 변화량 (전체 화학 반응에서 방출되는 총 에너지, 즉 열+일)
수소 연료전지에서 이론 효율 ≈ 83%
하지만 실제 효율은 40~60% 수준 (열 손실 등 감안)
🧪 전해질 역할 정리
전해질은 전자는 통과시키지 않고, 이온(H⁺ 또는 O²⁻)만 이동시킵니다.
연료전지 종류이동 이온전해질 특성
PEMFC, PAFC | H⁺ | 산성 환경, 양이온 전달 |
SOFC, MCFC | O²⁻ | 염기성 환경, 음이온 전달 |
→ 전해질의 특성에 따라 반응식과 구조가 달라집니다.
🎯 핵심 요약
- 연료전지는 산화-환원 반응을 통해 화학 에너지를 전기로 변환
- 전해질은 이온만 이동시키고 전자는 외부 회로로 흘려 보냄
- 이론 전압은 1.23V지만 손실로 인해 실제 전압은 0.6~0.8V
- 효율은 매우 높고, 환경 친화적
'수소연료전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연료전지 종류별 완전 정리|기술 비교와 산업 응용 (0) | 2025.04.11 |
---|---|
수소자동차 원리 쉽게 설명해드립니다! (연료전지, 전기 생성, 친환경의 비밀) (0) | 2025.04.11 |
연료전지 쉽게 이해하기 요약편 (1) | 2025.04.10 |